'스즈키 세이준'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09.06.25 Eclipse Series 17: Nikkatsu Noir
  2. 2009.04.15 사토 타다오 ['매춘부 이야기']
Eclipse Series 17: Nikkatsu Noir
http://www.criterion.com/boxsets/655

쿠라하라 코레요시 蔵原惟繕: 나는 기다린다 俺は待ってるぜ
http://www.criterion.com/films/2955

마츠다 토시오 舛田利雄: 녹슨 나이프 錆びたナイフ
http://www.criterion.com/films/2956

스즈키 세이준 鈴木清順: 13호 대피선에서 그 호송차를 노려라 13号待避線より その護送車を狙え
http://www.criterion.com/films/2957

후루카와 타쿠미 古川卓巳: 권총잔혹이야기 拳銃残酷物語
http://www.criterion.com/films/2958

노무라 타카시 野村孝: 권총은 나의 패스포트 拳銃は俺のパスポート
http://www.criterion.com/films/2959

'영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밤의 꿈 (1933)  (0) 2009.06.27
꽃의 아스카 조직  (0) 2009.06.25
텐텐 (2007) DVD  (0) 2009.06.23
알리시아의 눈 Los ojos de Alicia (2005)  (0) 2009.06.21
사비신보 (1985)  (0) 2009.06.17
Posted by javaopera
,
영화평론가 사토 타다오가 말하는 '매춘부 이야기'
[크라이테리온 '매춘부 이야기' 인터뷰를 옮긴 것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즈키 세이준 감독은 일본영화 역사상 무척 독특한 존재였습니다.
제가 아직 신출내기였을 때 스즈키 세이준 감독도 신참시절이었습니다.
그 당시 일본은 연간 500편을 만드는 일본영화산업의 정점에 있었습니다.
 그래서 평론가들은 주목받는 감독의 영화만 보았습니다. 스즈키 세이준
감독은 2선의 스타들을 할당받아서 회사에서 이미 만들어 놓은 각본으로
연출을 하는 감독군에 있던 감독이었습니다. 비평가들도 그런 급의 영화는
볼 필요가 없다는 식이어서 누구도 보지 않았습니다. 회사의 명령을 받으면서
그 안의 10퍼센트에 자신의 색깔을 담아내더라도 확실히 자신의 세계를 만들어냈습니다.
이것이야말로 현대의 삶을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그것으로 인해 해고를 당하게 되었습니다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노가와 유미코와 스즈키 세이준


일본은 강한 전통이 있습니다. 그 전통이라는 것은 예를 들어 오즈 야스지로나
미조구치 겐지가 표현한 것이었습니다. 무척 고요하거나 아주 신비롭거나
명상적인 것이었습니다. 해외에서도 그렇게 받아들였고 일본인들 자신도 그렇게
여겼습니다. 하지만 그것과는 완전히 반대의 전통도 있습니다. 무척 난잡하거나
그로테스크한 면입니다. 이러한 것도 일본의 전통을 이루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스즈키 세이준 감독의 경우 우리 자신이 일본의 전통에서 잊고 있던 부분을
훌륭하게 되살려 내었다고 생각합니다. 스즈키 세이준 감독은 진부한 이야기를
가지고 진부하지 않은 화면을 만들어내었습니다. 진부하지 않은 것을 만들어내려고
할 때 가장 큰 힘이 되어주었던 사람이 바로 기무라 다케오였습니다.
기무라 다케오는 리얼리즘적인 세트를 만들어내는데 굉장히 뛰어났습니다. 무척
오소독스한 미술감독이었습니다만 매 번 뻔한 작업을 하는 것에 진저리를 치고
있었습니다. 미술이 주역이 되는 화면을 만들어내고 싶은 열정과 야심이 있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술감독 기무라 다케오


매춘부 이야기라는 작품은 원작이 있습니다. 중일전쟁 때 오랫동안 전장에 있던
타무라 타이지로라는 작가가 전후에 쓴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원작은 곧바로
영화화되었습니다. '새벽의 탈주 暁の脱走'라는 영화입니다. 이 작품은 구로사와
아키라가 시나리오를 썼고 타니구치 센키치가 연출을 했습니다. 이 영화는 전쟁 반대,
군대 반대의 영화였습니다. 스즈키 세이준 감독이 만든 '매춘부 이야기'라는 영화는
동일한 원작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기본적으로 전쟁 반대이긴 하지만 군대에 반항하는
연인이 도망을 치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끝까지 군대의 모럴에 묶여 있어서  결국엔
자살하고 마는 남자의 이야기입니다. '새벽의 탈주'에 나오는 여자들은 사실 매춘부가
아니고 전장에서 위문하는 가수입니다. 이것은 말하자면 섹스 신을 배제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스즈키 세이준 감독의 영화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전장에서의
병사들의 성적인 욕구를 거침없이 그리고 있습니다. 동시에 그것을 받아들이는 매춘부들을
비참하게 보다는 힘을 내는 모습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전쟁에 빠져있는 사람들에게는
그러한 광기와 우스꽝스러움이 있다는 것이고 피해자 역시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분명 스즈키 세이준 감독 이전 세대는 마르크스 주의나 사회주의 사상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전쟁은 무의미한 것으로 여겨졌을 겁니다. 하지만 스즈키 세이준 감독의 세대는
사회주의 사상이 금지된 세대여서 철학적으로 관념적인 시선에서 죽음의 의미를 생각한 세대입니다.
스즈키 세이준 감독이 한 얘기 중 가장 인상이 깊었던 말이 있습니다. '인간이란 존재는
신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의 하나일뿐이다' 말하자면 인간은 신이 생각하는대로 장난을 치고
있는 장기알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그러한 말을 듣고서 과연 그렇구나 싶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른 감독은 보다 비극적이고 비참한 영화를 만듭니다. 하지만 스즈키 세이준 감독은
그 안에 우스꽝스러움을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이 스즈키 세이준 영화의 독특한
요소로서 니힐리즘의 한 종류라고 보여집니다. 니힐리즘의 스케일이 굉장히 커서 그것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역으로 삶을 긍정할 수 있는 하나의 단서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무척이나 흥미로운 관점이 있다고 여겨집니다. 실은 스즈키 세이준의 영화 중 가장 심각한
영화입니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죽기 위해 그 장소로 갑니다. 상관인 장교가 일본도를 꺼내서
베려고 하는 순간 주인공은 자신을 베려는 상관을 올려다 보는 장면. 저는 그 장면을 일본영화사
에서도 가장 훌륭한 장면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가슴에 남으면서 심각한 장면은
아주 드뭅니다. '너는 나를 죽일거야. 그것에 너는 자신을 가지고 있는 거야?' 구체적으로 그런
대사를 하진 않지만 그러한 절실한 감정이 느껴집니다. 저는 그렇게 진실되고 강한 여운이 있는
장면은 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새벽의 탈주'처럼 그렇게 좋은 영화가 있는데 도대체 왜 이다지도 그로테스크한 영화를
만드거냐며 비판이 오히려 많았습니다. 평화의 시대에는 생각할 수 없는 그로테스크한 일본인의
모습을 그려냈습니다. 그것은 당시의 비평가들이 보기에는 에로티시즘과 그로테스크함을 상술을
위해 버무려 놓은 추잡한 영화였습니다. 전쟁 중 일본인의 본 모습을 그려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에와서 보면 확연히 '매춘부 이야기'는 굉장히 훌륭하게, 당시 일본인의 추한 단면을
그려낸 영화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스즈키 세이준 감독이 우리에게 전해준 것은 굉장히 자유롭고 유연한 발상입니다. 주류의 큰 흐름
속에 있어야만 하는 것도 아니고 주류에서 벗어나도 전혀 개의치 않고, 주류에서 벗어났다고 해도
오히려 자기 원하는대로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여러 길이 열려있다고 스즈키 세이준 감독은
우리에게 제시해주었습니다.
마이너스적인 요소만 그리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최종적으로는 인간은 이렇게
흥미롭고 긍정할 수 있다고 그리고 어느 의미에서는 아름답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전통적인 미의 기준에는
부합하지 않아도 아름다운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합니다. 그것이 스즈키 세이준 감독의 큰 공이
아닌가 합니다.
Posted by javaoper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