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나카 노보루: 발금본 '미인난무' 중 가학 発禁本「美人乱舞」より 責める!
http://www.imdb.com/title/tt0285591/
http://www.jmdb.ne.jp/1977/da000360.htm
출연: 미야시타 준코(타에 역), 야마야 하츠오(이토 세우 역)

시바리(본디지) 그림을 그렸던 화가 이토 세우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핑크영화
이토 세우의 생애를 그리려는 전기의 성격보다는 스즈키 세이준의 '유메지'처럼
본디지 화가 이토 세우의 이미지만을 가져와서 자유롭게 극화한 작품이다.
두 전처들을 떠나 보내고 의기소침 해 있던 이토 세우는 '타에'라는 매춘여성을 만나고
그녀를 모델로 한 새로운 그림 창작에 매진한다. 검은 머리를 늘어뜨린, 묶인 여성에게
성적 쾌감을 느끼는 이토 세우와 이토 세우의 전처들에 대한 경쟁심을 느끼면서 더 한층
좋은 모델이 되어주려고 고통을 감내하는 타에 사이의 관계가 황량한 배경 위에서 긴장감
있게 그려진다. 화가와 모델로서, 연인으로서의 두 사람의 긴장관계는 타에의 뇌매독에
의한 정신병이 발현하면서 사그러는데 열정을 발산하던 존재가 어느샌가 사라져버리는
서글픔만을 남긴 채 영화는 막을 내린다. 사진 촬영을 한 후 그림 작업을 하는 이토 세우의
실제 작업방식을 핑크영화를 통해 흥미롭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는데 영화 속에서는 붓을
들고 그림을 그리는 화가 이토 세우가 아닌 여성을 밧줄로 묶는 본디지 아티스트 이토 세우의
모습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핑크영화로서 의레 본디지 신은 빠지지 않는 것이지만 (에로틱한
느낌이 다소 배제된) 이토 세우의 작업물로서의 본디지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 이색적으로
다가온다.

영화 속에서 이토 세우가 '시바리'와 함께 '시마다' 연출에 열중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시바리(본디지): 끈으로 몸을 결박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시마다(島田): 시뇽(Chignon)과 유사한 머리묶음 형태를 일컫는다. 게이샤의 머리틀어올림 형태를
연상하면 되겠다.


실제의 이토 세우(伊藤晴雨) 1882. 3. 3 - 1961. 1. 28
http://www.tanbikai.com/gallery/seiu_vol1.html [이토 세우 갤러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야시타 준코를 비롯해 이 영화에서 모델 역을 맡은 여배우들의 헌신에 그저 감탄스럽다.
밧줄에 묶이고 헐벗은 몸으로 눈밭에 뒹굴고 꽁꽁 얼어붙은 강물에 몸을 담그는 모습에서는
이토 세우와 작업했던 모델 여성들이 오버랩이 되었다고 할까... 근대 시기의 그들과 영화 속
스태프들의 모습이 겹쳐져 보이는 기묘한 경험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둘러싼 것 ぐるりのこと。(2008)  (0) 2009.03.07
M. 버터플라이 M. Butterfly (1993) VHS  (0) 2009.03.06
달콤한 밤의 끝 (1961)  (0) 2009.03.02
벙어리 장갑 Varezhka (1967)  (0) 2009.02.28
크로스 파이어 (2000)  (0) 2009.02.27
Posted by javaopera
,
요시다 기주(요시다 요시시게): 달콤한 밤의 끝 甘い夜の果て / LA FIN D`UNE DOUCE NUIT (1961)
http://www.imdb.com/title/tt0055799/
http://www.jmdb.ne.jp/1961/ck000810.htm

스탕달의 '적과 흑'을 바탕으로 요시다 기주가 당시 조감독이던 마에다 요이치와
공동각본 작업을 한 작품. 출세욕이 강한 '데즈카'가 드라이브인 카페에서 알게 된
'하루미'를 미끼로 이용해 부를 챙기려는 욕망을 세밀하게 그려내고 있다.



Posted by javaopera
,
로만 카차노프 Roman Kachanov: 벙어리 장갑 Varezhka (1967)
http://www.imdb.com/title/tt0393932/

강아지를 키우고 싶어하는 소녀의 간절함을 그려낸 애니메이션 겨울동화.
마음이 훈훈해질 정도로 앙증맞게 표현된 클레이 오브제가 깊은 인상을 남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금본 '미인난무' 중 가학 (1977)  (1) 2009.03.04
달콤한 밤의 끝 (1961)  (0) 2009.03.02
크로스 파이어 (2000)  (0) 2009.02.27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 (1963)  (3) 2009.02.18
ISOLA: 다중인격소녀 ISOLA (2000)  (0) 2009.02.17
Posted by javaopera
,
카네코 슈스케: 크로스 파이어 (2000)
http://www.imdb.com/title/tt0266870/
원작: 미야베 미유키
출연: 야다 아키코, 나가사와 마사미, 후지타니 아야코(특별출연)

법의 심판을 교묘히 피해가는 사악한 범법자를 대신 처단하는 초능력자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크로스 파이어'는 '데스노트' 실사영화와 연결지점이 보이기도 한다. 카네코
슈스케 감독이 애초 이런 소재에 대한 관심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류의
영화는 그리 낯설지 않은 것으로 선배감독들이 'Fury (브라이언 드 팔마)', '스캐너스', '데드존
(데이빗 크로넨버그)' 등을 통해서 남다른 능력을 지닌 이들을 통제하려는 국가권력의 습성
이나 주변인의 고통을 그려낸 바 있다. '크로스 파이어'는 비교하자면 '스캐너스'나 '데드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데 카네코 슈스케는 화려한 액션을 선보일 순간을 호시탐탐 기다리는 듯이
만족스러운 비쥬얼을 선사하면서도 드라마 연출에 있어서는 매끄러움을 보이고 있진 않다.
'히로인인 아오키 준코는 불을 일으키는 파이로키네시스를 지닌 초능력자로서 연인의 여동생이
살해 당하자 복수를 다짐하고 끝없는 추적을 해나간다.' 무척 흥미로운 이야기임에도 곁가지로
끼어있는 아오키 준코의 연인 카즈키의 부분이나 아오키 준코를 적대시하는 남자형사의 에피
소드는 아오키 준코를 중심으로 재미를 더해갈 시점에서 매번 흥미를 떨어트리는 역할을 한다.
주변부 인물이 극을 장악하는 시간이 너무 많다. 아오키 준코의 이야기가 아닌가. 그녀에게 좀
더 집중한 이야기를 선보였으면 하는 바람을 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능력자 소재의 영화에
반색하는 이라면 이 영화는 적어도 체크리스트에 들어도 손색없지 않을까 싶다. 그만큼 여주인공의
매력을 십분 활용하고 있고 호쾌한 진행을 보이지 못하는 답답한 흐름 속에서도 간간히 터져나오는
SFX의 화려함은 무시하기엔 아까울 정도이기 때문이다.

*미야베 미유키의 원작소설은 조만간 국내출간예정이다.
*스티븐 시갈의 딸인 후지타니 아야코는 웨이트레스 역으로 깜짝 출연을 한다. 후지타니 아야코는
카네코 슈스케의 '가메라' 시리즈에서 활약한 바 있다.

아오키 준코 역의 야다 아키코
캐스팅의 만족스러움 때문에 영화의 미진한 완성도를 더욱 원망케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가사와 마사미의 데뷔작. 한국에 이연희가 있으면 일본엔 마사미가 있다!! 어색한 연기라면 누구 못지
않은 마사미인데 다행스럽게도 이 영화에서 마사미는 대사가 별로 없다. 신비스러운 소녀 역할이기도 해서
이 영화에서의 풋풋한 마사미는 매력이 넘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악당이 어떻게 응징될 것인가는 쉽사리 예상이 가능하다. 머리를 폭파시켜버리는 '스캐너스'의
무지막지한 엔딩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통쾌한 엔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콤한 밤의 끝 (1961)  (0) 2009.03.02
벙어리 장갑 Varezhka (1967)  (0) 2009.02.28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 (1963)  (3) 2009.02.18
ISOLA: 다중인격소녀 ISOLA (2000)  (0) 2009.02.17
집안에서 (1991)  (0) 2009.02.11
Posted by javaopera
,
카지 메이코 梶芽衣子: 남풍

바람은 남풍이 좋아요
멋진 그 사람의 발걸음 소리가 들려요
비는 이슬비가 좋아요
우산도 쓰지 않고 거리를 걸어요
그래요
너무나 평범한 일들이
나에겐 무척 행복한 순간이에요

하늘은 가을하늘이 좋아요
사랑하는 사람의 휘파람 소리가 들려요
꿈은 달콤한 꿈이 좋아요
혼자 걷는 행복이 느껴져요
그래요
너무나 평범한 일들이
나에겐 무척 행복한 순간이에요
風は南風が 好きよ
素敵な人の 足音が聞こえる
雨はこぬか雨が 好きよ
傘などささず 街中を歩くの
そうよたわいもない 出来事が
私にはとても いいひととき

空は秋の色が 好きよ
愛する人の 口笛が聞こえる
夢は甘い夢が 好きよ
一人で歩く 幸福がただよう
そうよたわいもない 出来事が
私にはとても いいひととき

Posted by javaopera
,
星のながれに
1947년 키쿠치 아키코 菊池章子가 부른 곡으로 '팡팡 パンパン'이라 불리는
미군상대 매춘여성의 서글픈 신세를 노래한 곡이다.
유성에게 내 신세를 점치고
어디가 내 둥지일까 오늘 머물 곳
메마른 마음으로 있으면 안되지만
울어서 눈물도 모두 말라버렸어
이런 여자로 누가 만들었나

담배를 피고 휘파람을 불고
정처없는 밤에 방황을 하네
사람들은 뒤돌아보네 이 몸은 여위었네
거리의 불빛의 쓸쓸함이여
이런 여자로 누가 만들었나

지금 여동생은 어디서 굶주리고 있나
한번이라도 만나보고 싶은 어머니
루즈를 칠한 슬픈 입술을 깨물면
어둠의 밤바람도 울면서 부는구나
이런 여자로 누가 만들었나
1 星の流れに 身を占って
  何処をねぐらの 今日の宿
  荒(すさ)む心で いるのじゃないが
  泣けて涙も 涸れ果てた
  こんな女に誰がした


2 煙草ふかして 口笛吹いて
  当もない夜の さすらいに
  人は見返る わが身は細る
  街の灯影の 侘びしさよ
  こんな女に誰がした


3 飢えて今頃 妹はどこに
  一目逢いたい お母さん
  唇紅(ルージュ)哀しや 唇かめば
  闇の夜風も 泣いて吹く
  こんな女に誰がした



토가와 준의 리메이크앨범 '쇼와향년 昭和享年'에 수록된 버전
Posted by javaopera
,
왕비 王菲(왕정문, Faye Wong) - 그저 이 삶이 오래 이어졌으면 / 단원인장구 但願人長久

평소 즐겨 듣는 곡이면서도 이런 가사인 줄 처음 알았네요.
소동파의 시라는 사실이 더욱 놀랍고요. 왕비의 곡을 들을
적마다 중국어를 배우고 싶은 생각이 간절해 지곤 합니다.
중국어를 몰라서 가장 아쉬운 순간이죠.
明月幾時有 : 밝은 달 있은지 얼마나 되나
把酒問靑天 : 잔을 들어 하늘에 묻는다
不知天上宮闕 : 천상궁궐은 오늘 저녁이
今昔是何年 : 무슨 해인지 모르겠네
我欲乘風歸去 : 내 바람을 타고 거기로 돌아가고 싶지만
惟恐瓊樓玉宇 : 생각해보니 수정 누각과 옥으로 지은 집이
高處不勝寒 : 높아 추위를 견디지 못할까 무섭네
起舞弄淸影 : 일어나 맑은 그림자를 희롱하며 춤추니
何似在人間 : 사람 세상에 무엇이 이 같으랴
轉朱閣 : 붉은 기둥을 돌아서
低綺戶 : 비단창호 밑으로 들어와
照無眠 : 잠 못들게 비추네
不應有恨 : 응당 한이 없으련만
何事長向別時圓 : 무슨 까닭으로 이별할 때만 오래도록 둥근 것인가
人有悲歡離合 : 사람은 슬픔과 기쁨, 헤어짐과 만남이 있고
月有陰晴圓缺 : 달은 어두움과 밝음, 둥금과 이지러짐이 있구나
此事古難全 : 이는 오래전부터 어쩌지 못할 일이지
但願人長久 : 다만 사람도 오래도록 살아서
千里共嬋娟 : 천리를 떨어져서도 달님을 같이 바라볼수만 있다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javaopera
,
다나카 도쿠조: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 眠狂四郎殺法帖
http://www.imdb.com/title/tt0148940/
http://www.jmdb.ne.jp/1963/cm003420.htm

'자토이치'와 함께 대표적인 찬바라 시리즈로 꼽히는 '네무리 쿄시로'의 시작을 알리는
첫 작품이다. 청옥불상에 숨겨진 비밀문서를 차지하려는 양세력의 암투에 원치 않게
개입하게 된 네무리 쿄시로의 활약상을 그리고 있다. 찬바라 영화의 히어로들이 대부분
냉소적인 성향을 깔고 가지만 그 중 네무리 쿄시로라는 캐릭터는 지독한 냉소를 보이는
히어로이다. 그것은 그의 태생과도 연관되어 있는 것인데 '살법첩'에서는 네무리 쿄시로의
배경에 대해서 그의 입을 통해 단지 힘든 유년을 견뎌냈다는 정도로만 소개를 하고 있다.
미스미 겐지가 포문을 열었던 '자토이치 이야기 (자토이치 1)'의 팽팽한 긴장감에 비하면
(오히려 자토이치는 후속편이 이어지면서 코미디적인 부분도 첨가되었다)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은 지루함의 순간이 종종 찾아올 정도로 꽉찬 진행을 보이진 못한다. 네무리 쿄시로
에게 접근한 여인 '치사'와의 로맨스가 필요이상으로 부각되어 있는 탓이기도 하고 악당과의
대결도 밋밋한 수준에서 쉽게 정리가 된다. 게다가 네무리 쿄시로와 대결하는 극중 최고의
적수로 등장하는 '소림권법' 첸선 역으로 와카야마 토미사부로가 분하고 있는데 검법과 권법의
대결이어서인지 정작 최후의 대결에 이르러서도 맥빠지는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시리즈가
더해가면서 네무리 쿄시로에 대한 캐릭터 묘사도 보다 덧붙여지고 극적인 재미도 커져가는 것이
바로 '네무리 쿄시로' 시리즈다.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은 인기 찬바라 시리즈의 소박한 워밍업
정도로 평가할 수 있는 작품이다.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 오프닝
이치카와 라이조의 날렵한 몸동작과 날카로운 목소리는 무척 매혹적이다. '아들을 동반한 검객'을
원작 캐릭터에 맞게 영화화했다면 이치카와 라이조가 좋은 선택이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와카야마 토미사부로의 육중한 체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위압감 역시 흡족하긴 했지만 이치카와 라이조
역시 멋진 모양이 나왔을 듯 싶다.

'영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벙어리 장갑 Varezhka (1967)  (0) 2009.02.28
크로스 파이어 (2000)  (0) 2009.02.27
ISOLA: 다중인격소녀 ISOLA (2000)  (0) 2009.02.17
집안에서 (1991)  (0) 2009.02.11
내 인생의 영화: 미란다 줄라이  (0) 2009.02.07
Posted by javaopera
,
미즈타니 토시유키: ISOLA
원작: 기시 유스케 貴志 祐介 '13번째 인격 ISOLA 十三番目の人格(ペルソナ)―ISOLA'
http://www.imdb.com/title/tt0233910/
출연: 기무라 요시노 (유카리 역), 구로사와 유우 (치히로, ISOLA 그외 다중인격)
소설가 기시 유스케의 데뷔작 '13번째 인격 ISOLA'의 영화화 버전.
고베 대지진의 생존자를 돕는 자원봉사를 위해서 도쿄에서 온 유카리.
타인과 쉽사리 터놓지 못하는 폐쇄성이 있는 그녀에겐 타인의 마음을
읽어내는 초능력이 있다. 인근을 배회하던 유카리는 기묘한 분위기를
풍기는 소녀 치히로를 만나게 된다. 치히로의 급격한 성격변화를 통해
다중인격자임을 인지하게 된 유카리는 치히로의 주변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살인사건의 미스터리를 풀어나간다.
주체 내부에서만 분열된 다중인격을 그려낸 여타 영화와는 다르게 다른
이의 몸에서 유체이탈한 사악한 혼령이 소녀의 몸에 침투하여 또하나의
인격으로 자리잡는다는 흥미로운 소재를 지닌 작품이다. 과학실험과 연계
된 미스터리극이라는 점에서 '패러사이트 이브'와도 유사한 SF호러의 분위
기를 풍긴다.(더 넓혀보자면 토브 후퍼의 'Lifeforce'도 연상할 수 있겠다.)
초능력자와 다중인격자라는 소재의 흥미로움과 사악한 미소녀 악당이라는
매력포인트를 지녔음에도 연출은 평이하다. 유카리에 대한 배경이 전혀
설명되고 있지 않은 것이 의아한 생각이 든다. 유카리는 왜 치히로에게
집착하게 되었는지... 주변인에 머무르는 이들에 대한 동질감이라고 쉽사리
얘기할 수도 있겠지만 미스터리가 풀리는 치히로의 경우와 달리 유카리에
대한 부분은 의구심으로 끝까지 남는다. 

다중인격소녀 치히로 역을 맡은 구로사와 유우.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손녀이기도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로스 파이어 (2000)  (0) 2009.02.27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 (1963)  (3) 2009.02.18
집안에서 (1991)  (0) 2009.02.11
내 인생의 영화: 미란다 줄라이  (0) 2009.02.07
걸스 록 Girls Rock! (2007)  (0) 2009.02.05
Posted by javaopera
,
우메바야시 시게루 梅林茂
http://www.shigeru-umebayashi.com/
록그룹 EX에 몸담고 있던 우메바야시 시게루가 그룹 해산 후 영화음악가로서
첫 출발을 하면서 대성공을 거뒀던 작업물인 영화 '그 후'. 주연인 마츠다 유사쿠와는
이미 함께 음악작업을 한 인연이 있었다. 인터뷰에서 영화음악계에 발을 딛게된 계기
를 마련해준 인물이라고 밝혔던 것을 보면 대단한 인연이라고 할 수 있겠다.
Posted by javaoper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