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치카와 라이조'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09.02.18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 (1963) 3
  2. 2007.12.30 미스미 겐지 전기작가 노자와 카즈마 인터뷰
다나카 도쿠조: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 眠狂四郎殺法帖
http://www.imdb.com/title/tt0148940/
http://www.jmdb.ne.jp/1963/cm003420.htm

'자토이치'와 함께 대표적인 찬바라 시리즈로 꼽히는 '네무리 쿄시로'의 시작을 알리는
첫 작품이다. 청옥불상에 숨겨진 비밀문서를 차지하려는 양세력의 암투에 원치 않게
개입하게 된 네무리 쿄시로의 활약상을 그리고 있다. 찬바라 영화의 히어로들이 대부분
냉소적인 성향을 깔고 가지만 그 중 네무리 쿄시로라는 캐릭터는 지독한 냉소를 보이는
히어로이다. 그것은 그의 태생과도 연관되어 있는 것인데 '살법첩'에서는 네무리 쿄시로의
배경에 대해서 그의 입을 통해 단지 힘든 유년을 견뎌냈다는 정도로만 소개를 하고 있다.
미스미 겐지가 포문을 열었던 '자토이치 이야기 (자토이치 1)'의 팽팽한 긴장감에 비하면
(오히려 자토이치는 후속편이 이어지면서 코미디적인 부분도 첨가되었다)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은 지루함의 순간이 종종 찾아올 정도로 꽉찬 진행을 보이진 못한다. 네무리 쿄시로
에게 접근한 여인 '치사'와의 로맨스가 필요이상으로 부각되어 있는 탓이기도 하고 악당과의
대결도 밋밋한 수준에서 쉽게 정리가 된다. 게다가 네무리 쿄시로와 대결하는 극중 최고의
적수로 등장하는 '소림권법' 첸선 역으로 와카야마 토미사부로가 분하고 있는데 검법과 권법의
대결이어서인지 정작 최후의 대결에 이르러서도 맥빠지는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시리즈가
더해가면서 네무리 쿄시로에 대한 캐릭터 묘사도 보다 덧붙여지고 극적인 재미도 커져가는 것이
바로 '네무리 쿄시로' 시리즈다.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은 인기 찬바라 시리즈의 소박한 워밍업
정도로 평가할 수 있는 작품이다.


'네무리 쿄시로 살법첩' 오프닝
이치카와 라이조의 날렵한 몸동작과 날카로운 목소리는 무척 매혹적이다. '아들을 동반한 검객'을
원작 캐릭터에 맞게 영화화했다면 이치카와 라이조가 좋은 선택이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와카야마 토미사부로의 육중한 체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위압감 역시 흡족하긴 했지만 이치카와 라이조
역시 멋진 모양이 나왔을 듯 싶다.

'영화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벙어리 장갑 Varezhka (1967)  (0) 2009.02.28
크로스 파이어 (2000)  (0) 2009.02.27
ISOLA: 다중인격소녀 ISOLA (2000)  (0) 2009.02.17
집안에서 (1991)  (0) 2009.02.11
내 인생의 영화: 미란다 줄라이  (0) 2009.02.07
Posted by javaopera
,

['아들을 동반한 검객'의 미스미 겐지에 관한 전기작가 노자와 카즈마의
인터뷰를 옮긴 것입니다.]

미스미 겐지 : 아버지와 인생
(미스미 겐지 전기작가 노자와 카즈마 인터뷰)

미스미 감독은 애초에 화가가 되려고 했었습니다
그림 그리는 것을 무척 좋아해서 어려서부터 즐겨 그림을 그렸습니다
그래서 화가가 되려고 했지만 화가로는 생활이 되지 않는다면서
아버지 후쿠지로의 반대에 부딪히게 되었죠
그만둘 수 밖에 없었고 영화 쪽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습니다
영화는 어려서부터 반도 츠마사부로나 거장 이토 다이스케의 영화를 좋아했습니다
이토 다이스케의 '추지 여행기'라는 무성영화 같은 거 말이죠
그런 이유로 영화 쪽으로 관심을 두기 시작한 것이죠
쇼와 20년 (1945년) 부터 쇼와 23년 (1948년) 까지
시베리아 강제수용소의 포로 생활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건 당연히 미스미 감독의 이후의 경력에 있어서도
상당한 심리적으로도, 영화를 대하는 자신의 방식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시대극에서 결투 장면이 상당히 등장하는데 오히려 현대의 전쟁물은
한 작품도 만들지 않았습니다
다이에이 영화사에서 현대 전쟁물을 주문해도 분명 거절했을 겁니다
그만큼 전쟁에 대한 증오심이나 거부감이었을겁니다
3년간의 수용소 생활은 미스미 감독을 역으로 정신적으로 무척 강인하게
만든 점이 있었을 겁니다
그래서 회사와의 알력이나 현장에서 곤란한 사태가 오더라도 미스미 감독은 흔들리지 않고
상당히 강건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것은 힘들었던 유년시절을 보냈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전쟁 중 시베리아에서 보낸 3년간의 수용생활이 영향을 주어서
미스미 감독을 그토록 강인한 정신력의 사람으로 만들었던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당시 다이에이 영화사의 대스타 하세가와 카즈오가 있었는데
하세가와 카즈오가 영화를 촬영할 때는 대스타이니깐 여러가지 주문을 하게 되죠
촬영에 관한 것들을 말이죠
클로즈업으로 잡아달라든지 이쪽으로 조명을 밝게 해달라거나 정면으로 잡아달라거나하는
여러가지 주문을 하지만 미스미 감독은 납득되지 않는 컷은 절대로 찍지 않았습니다. 


언젠가는 이치카와 라이조와 언쟁을 벌였던 일도 있습니다.
'대보살 고개'를 촬영할 당시였죠
그 때 이치카와 라이조가 로케이션에 가고 싶어하지 않아서...
어떤 이유가 있어서인지 로케이션에 참여하고 싶어하지 않아서
미스미 감독이 화를 내었습니다
'라이조는 내일의 로케이션에는 필요없어'라고 말을 했습니다
스타이니깐 절대로 무르게 해서는 안된다는 원칙으로 자신의 작품에서만은 어떠한 타협도
없었습니다. 처음에는 이러한 태도에 저항감을 느끼는 사람이 적지 않았습니다.
여러가지 주문이 많으니깐 어찌 되었든 촬영시간은 길어지고 수월하게 촬영 하는 것을
바라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영화에 있어서는 납득하지 않으면 OK 사인을 내지 않는
사람이여서 엄격함이 있었던 탓에 촬영은 당연히 길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완성된 영화는 누가 봐도 재미있다거나 굉징하다고 생각을 하니깐
이후 스태프는 이해를 하게 되었는데 '이 사람이 연출하는 영화라면'이라고 생각하게 되어서
굉장히 상호협력적으로 되었던 것이죠. 그런 이유로 자연적으로 미스미 감독의 영화에서는
스태프의 결속력이 상당히 강했습니다. 그래서 '미스미 구미'라는 식으로 불렸습니다

 


카메라의 마키우라 치카시, 미술담당 나이토 아키라, 현상담당 타니구치 토시오,
자연적으로 결속력이 강해지는 면이 있어서 모두가 미스미 감독의 재능에 주목하게 되었다고 할까
엄격한 감독의 영화를 보고서는 높은 평가를 한 것입니다. 나이토 아키라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내서 미스미 감독이 OK를 내곤 했습니다. 미스미 감독은 의외로 그런 부분에서는 이해심이 많아서
각본보다 나이토 아키라의 아이디어가 좋다고 생각하면 각본을 무시하고 나이토 아키라의
아이디어를 사용했습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각본가로서는 자신이 작업한 것이 무시된 듯한 기분이
들곤 했죠. 유쾌한 일은 아닌 것이죠. 다이에이 제작부에서는 의식적으로 두사람을 떨어트려
놓으려 하기도 했었습니다

 

다이에이 영화사에는 거장이라 불리는 감독이 세 명 있었습니다.
그 중 한 명이 이토 다이스케, 미조구치 겐지, 그리고 또 한 명이 기누가사 테이노스케입니다
이 세사람이 거장이라고 불리며 다이에이 영화사에서 랭킹을 말하자면 특급 감독이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모리 카즈오, 뒤이어 미스미 겐지, 다나카 도쿠조 이런 분들이 계셨었죠
특급 거장 세명을 말하자면 미조구치 겐지 감독은 일찍 돌아가셨습니다
1956년에 돌아가시게 되었습니다. 이토 다이스케 감독은 다이에이 영화사를 떠나서
토에이 영화사로 옮겨가게 되었습니다. 남은 건 기누가사 감독 한 명이었습니다
그런데 기누가사 감독은 연세가 들고 자연적으로 밑에 있던 모리 카즈오 감독이 이어받게 되었고
그리고 미스미 겐지, 다나카 도쿠조 새롭게 등장한 이케히로 카즈오 감독 등이 밑에서 올라오게
되었을 때 그 시점에서 다이에이 영화사가 도산하고 만 것이죠
미스미 감독은 그 시점에서 다이에이 영화사에서는 상당히 높은 위치였습니다
다이에이 영화사가 도산하기 전 3년 동안은 미스미 감독은 시대극 뿐만 아니라 현대극,
여성 영화 '눈물의 강'을 연출했습니다. 여성이 주인공인 영화였습니다
그 영화는 원래 미조구치 감독이 생전에 다루던 분야였죠. 여성영화를 만드는 감독이 다이에이
에서는 사라져 버린 것이죠. 자연적으로 자리를 물려받게 된 미스미 감독이 그 프로젝트를
떠맡게 된 것입니다. 다이에이가 도산할 당시에는 미스미 감독의 위치가 상당한 수준에 올라있었던 것이죠. 미스미 감독은 말하자면 '여성적인 감독'이라고도 부를 수 있겠습니다.
자신의 개성적인 측면에서 말이죠. 감독으로서도 그렇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와카야마 토미사부로가 처음에는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습니다. 여자같은 남자라고 표현했는데
''신선조 시말기'를 촬영할 때 미스미 감독을 좋지 않게 생각했습니다 나중에 '아들을 동반한
검객'을 촬영하면서 생각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후지무라 시호에게는 상당히 엄격했었습니다. 


후지무라 시호가 갓 데뷔한 여배우여서 배우로서 키워야겠다는 생각을 미스미 감독은 가졌던 듯
싶습니다. 후지무라 시호는 쿄토 출신이 아니었기 때문에 쿄토 사투리가 서툴러서 '신선조
시말기'를 촬영할 때 미스미 감독이 일부러 후지무라 시호를 자신의 집으로 불러서 쿄토 사투리를
가르쳤다는 얘길 들은 바 있습니다. 그래서 후지무라 시호에게는 여배우로 키워준 감독이었던
셈이죠.

 

미스미 감독의 어머니는 게이샤였습니다. 그래서 어머니와는 함께 생활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한 점이 역으로 아버지를 향한 미움이나 저항감 같은게 있었을 겁니다
그것이 미스미 감독의 영화에 반영되어 있다고 보여집니다. 부자관계가 상당히 '쿨'한
냉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들을 동반한 검객'에서 그렇지만
아버지에 대한 깊은 반항심을 지녔다고 보이지만 결국엔 아버지와 거리감을 느끼면서도
마음 한편으로는 완전히 외면할 수 없는 것이죠. '아들을 동반한 검객'의 부자관계와도 닮아있죠
얼핏 보면 오가미 이토가 아들인 다이고로에게 차가운 듯이 보이지만 하지만 본질적으로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죠. 오히려 그런 식으로 차갑게 대하면서도 역으로 애정을 표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오가미 이토는 다이고로를 무척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미스미 감독은 자신과 아들 신야와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감정을 느꼈던 듯 싶습니다
미스미 감독의 아버지는 자식이 영화사에서 일하는 것도 반대했습니다
부자관계가 끊어질 듯한 시기도 있었습니다. 그 당시는 지금 이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영화를
봤었고 자신의 아들이 감독으로서 영화를 만든다는 것을 이후에 자신도 뿌듯하게 생각했을 겁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아들의 영화를 보러 간다는 이야기도 없이 몰래 혼자 영화를 보러가거나 해서
자신의 아들이 건강하게 이런 영화를 만든다는 것에 안심했을 겁니다'

Posted by javaopera
,